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C2
- 파이썬
- Class
- TypeScript
- git
- MongoDB
- S3
- 중급파이썬
- AWS
- 카톡
- SSA
- Props
- Vue
- async
- socket io
- react
- 튜플
- RDS
- merge
- docker
- node
- dict
- pandas
- 채팅
- wetube
- lambda
- SAA
- crud
- NeXT
- flask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31)
초보 개발자
큐, 스택은 선형구조이다. 선형구조랑 자료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형태이다. 트리는 비선형 구조이다. 비선형 구조는 선형구조와는 다르게 데이터가 계층적 혹은 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형구조와 비선형구조의 차이점은 형태뿐만 아니라 용도에서도 차이점이 많다. 선형구조는 자료를 저장하고 꺼내는 것에 초점, 비선형 구조는 표현에 초점 ( 폴더 구조가 대표적인 트리 ) 트리는 계층형 구조이다. 위 아래가 구분되어 있다. 트리는 이진 트리, 이틴 탐색 트리, 균형 트리, 이진 힙 등 다양한 트리가 있다. 이진 트리와, 완전 이진 트리만 배워보자 이진 트리의 특징은 바로 각 노드가 최대 두개의 자식을 가진다는 것이다. 하위 노드가 4 ~ 5개 일 수 없다. 무조건 0이거나 1이거나 2이어야 ..
큐, 스택은 선형구조이다. 선형구조랑 자료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형태이다. 트리는 비선형 구조이다. 비선형 구조는 선형구조와는 다르게 데이터가 계층적 혹은 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형구조와 비선형구조의 차이점은 형태뿐만 아니라 용도에서도 차이점이 많다. 선형구조는 자료를 저장하고 꺼내는 것에 초점, 비선형 구조는 표현에 초점 ( 폴더 구조가 대표적인 트리 ) 트리는 계층형 구조이다. 위 아래가 구분되어 있다. 트리는 이진 트리, 이틴 탐색 트리, 균형 트리, 이진 힙 등 다양한 트리가 있다. 이진 트리와, 완전 이진 트리만 배워보자 이진 트리의 특징은 바로 각 노드가 최대 두개의 자식을 가진다는 것이다. 하위 노드가 4 ~ 5개 일 수 없다. 무조건 0이거나 1이거나 2이어야 ..
해쉬 테이블이란?? 컴퓨핑에서 키를 값에 매핑할 수 있는 구조인, 연관 배열 추가에 사용되는 자료구조이다. 해시 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index를 버킷이나 슬롯의 배열로 계산한다.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중에 하나로 데이터의 검색과 저장이 아주 빠르게 진행된다. 해시 테이블은 각각의 Key값에 해시함수를 적용해 배열의 고유한 index를 생성하고, 이 index를 활용해 값을 저장하거나 검색하게 된다. 여기서 실제 값이 저장되는 장소를 버킷 또는 슬롯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Key, Value)가 ("kim", "1234")인 데이터를 크기가 16인 해시 테이블에 저장한다고 하자. 그러면 먼저 index = hash_function("kim) % 16 연산을 통해 index 값을 계산한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Queue: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ne self.tail = None def enqueue(self, value): new_node = Node(value) if self.is_empty(): self.head = new_node self.tail = new_node return self.tail.next = new_node self.tail = new_node def dequeue(self): if self.is_empty(): return 'array is empty' cur = self.head self.head = sel..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ne def push(self, value): new = Node(value) new.next = self.head self.head = new # pop 기능 구현 def pop(self): if self.is_empty(): print('array is empty') return deleted = self.head self.head = self.head.next return deleted.data def peek(self): if self.is_empty(): print('array is e..
지금까지 우리는 app.py라는 파일을 만들고 app = Flask(__name__)을 전역객체로 생성하여 if __name__ == __main__: app.run()을 통해 서버를 실행 시켰다. 그리고 app객체를 사용해 여러 설정을 진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app 객체를 전역으로 사용하면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플라스크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팩토리(application factory)를 사용하라"고 권한다. 애플리케이션 팩토리는 쉽게 말해 app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폴더를 하나 만들고 그 안에 __init__py라는 파일을 생성해준다. 그리고 create_app()이라는 함수를 만들고 그 안에서 app을 정의한 뒤 ap..
파이썬을 시작하면 if __name__ == __main__와 같은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 이러한 부분은 설명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기에 볼 때마다 거슬렸는데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고 넘어가자!! 우리가 파이썬을 실행할때 python test.py 이런식으로 파이썬을 실행한다. print.py이라는 모듈을 만들어 함수를 하나 만들어두고, 함수 밖에 print를 하나 더 넣었다. 이걸 test.py에서 블러온 뒤 hi 함수를 실행 해보자! 이렇게 하면 하이요 라는 것이 출력될 것이다. 근데 막상 실행해보니 하이요만 나온 것이 아니라 바이요도 나왔다. 그리고 심지어 바이요가 먼저 나왔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듯이 파이썬의 import 구문은 다른 파이썬 소스나 패키지 혹은 파이썬 라이브러리의 기능 ..
먼저 redirect함수는 서버에서 프론트엔드로 ~~ url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app.route('/where') def where(): return redirect('http://naver.com') localhost:5000/where로 접근하였을 때 redirect로 네이버 주소를 적어주었으니 저 url로 이동을 시킨다. @app.route('/where') def where(): return redirect('/here') @app.route('/here') def here(): return 'hi' 마찬가지로 /where에 접근했을 때 redirect를 사용해 /here로 토스 시키면 웹브라우저에 hi를 출력시킬 것이다. 그런데 만약 여기서 /where로 접근했을 떼 /here이라는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