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튜플 (3)
초보 개발자
[네임드 튜플의 이해와 작성] tri_one = (12, 15) #삼각형 밑변 12와 높이 15를 묶어 놓은 것) tri_one (12, 15) 주석을 통해 앞에 있는 12가 밑변이고 15가 높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면 이 사실을 몰랐을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든것이 정보를 튜플에 새겨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네임드 튜플이다. 튜플도 클래스의 객체이다. 우리는 튜플에 각 각 이름을 부여할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냐면 튜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를 하나 만든다는 의미이고, 일반적으로 클래스를 만들려면 귀찮으니까 이름을 부여한 튜플을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만드는 방법으로 파이썬에서 namedtuple이라는 함수를 제공하고 있다. 파이썬 : 너는 클래스의 이름하고, 튜플의 각 위치별..
패킹 : 묶기 언패킹 : 풀기 * → 묶는다 라는 의미라고 생각하자 단! 단 하나의 경우에는 풀기의 의미도 있다. 그게 언제냐면 함수를 호출하면서 인자를 전달할 때이다. 튜플로 값을 묶는 행위를 가리켜 '튜플 패킹'이라 하고 반대로 튜플로 묶여 있는 값들을 풀어내느 행위를 '튜플 언패킹'이라 한다. 튜플 패킹 : 하나 이상의 값을 튜플로 묶는 행위 튜플 언패킹 : 튜플레 묶여 있는 값들을 풀어내는 행위 tri_one = (12, 15) #밑변 길이 12와 높이 길이 15를 묶어 놓은 것 # tri_one = 12, 15 이렇게 소괄호 생략할 수도 있다. tri_one (12, 15) 보통은 튜플 생성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튜플 패킹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 반대로 다음과 같이 튜플에 저장된 ..
수정 가능학 객체를 mutable이라고 하고 (리스트, 딕셔너리와 같이 수정이 가능한 것) 수정 불가능한 객체를 immutable이라고 한다. (튜플과 같이 수정이 불가능한 것) r = [1,2] id(r) # 리스트의 주소 정보 확인 ex ) 51637384 r += [3,4] # 리스트에 값을 추가 r [1,2,3,4] # 잘 추가가 됨 id(r) #리스트의 주소가 바뀌지 않았음을 확인 51637384 튜플에 저장된 값을 수정하게 되면 다음 예에서 보이듯이 새로운 튜플이 만들어 진다. t = (1,2) id(t) # 튜플의 주소 정보 확인 ex ) 58040192 t += [3,4] # 튜플에 값을 추가 , 이때 새로운 튜플이 만들어 진다. t (1,2,3,4) # 잘 추가가 됨 id(t) #t에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