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XT
- 카톡
- AWS
- SAA
- S3
- TypeScript
- git
- docker
- RDS
- Class
- pandas
- socket io
- Props
- flask
- MongoDB
- Vue
- merge
- lambda
- EC2
- wetube
- react
- async
- 파이썬
- 중급파이썬
- node
- dict
- SSA
- 채팅
- 튜플
- crud
- Today
- Total
목록ssh (2)
초보 개발자
먼저 키페어를 통해서 ssh에 접속하자. 나는 우분투 이기에 ubuntu로 적어주었는데 아마존일 경우 ec2-user인가? 그걸 적어주어야 할 것이다. ssh -i "키페어" ubuntu@ip 접속 후 아래의 명령어를 복붙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build-essential sudo apt-get install curl // 원하는 버전 적으면 됨 16.x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6.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node -v // node 버전 확인 npm -v // npm 버전 확인

Secure Shell 줄여서 SSH라는 방법을 통해 깃허브에 접속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SSH 원격 접속이란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보안이 강화된 안전한 방법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를 한 쌍으로 묶어서 컴퓨터를 인증한다. 퍼블릭 키는 말그래도 외부로 공개되는 키이고, 프라이빗 키는 아무도 알 수 없게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키입니다. 사용자 컴퓨터에서 SSH키 생성기를 실행하면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가 만들어 진다. 일반적으로 긴허브의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올리는 등 작업을 위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깃허브엑데 내가 해당 저장소를 만든 계정의 주인임을 인증해야 한다.!! 이에 비해 SSH원격 접속은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