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act
- SAA
- 파이썬
- RDS
- docker
- pandas
- 카톡
- git
- merge
- wetube
- EC2
- 채팅
- crud
- Vue
- MongoDB
- lambda
- socket io
- NeXT
- flask
- 튜플
- Props
- Class
- SSA
- node
- TypeScript
- S3
- 중급파이썬
- dict
- async
- AWS
- Today
- Total
목록getter (2)
초보 개발자

[안전하게 접근하기] 객체가 갖는 값에 직접 접근하는 것은 오류의 확률을 높이므로 메소드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언더바 2개를 사용하여 변수를 만들고, 이를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정한 뒤 getter와 setter을 생성하여 이 걸로 값을 변경 및 조회를 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복잡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전에는 n.a = 5 n.a 이런식으로 값을 직접 변경 및 조회가 가능했지만 이젠 n.seta(5) n.geta() 이런식으로 변경 및 조회를 해야하니까 말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해보자 프로퍼티를 함수를 호출하면서 프로퍼티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객체를 n에 넣어준 것이다. 그리고 인자에 2개의 메서드를 넣어주었다. 첫번째에는 getter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연관된 변수와 함수들을 한 덩어리로 묶어서 구조화하여 표현하는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뜻한다. Class 와 Object가 대표적이고 이 둘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객체들은 클라스를 통해서 만들어 질 수 있고, 클래스는 객체가 어떤모습을 가질지를 정의하고 묘사하는 객체의 설계도, 생산틀이다. 클라스 내에 정의 된 변수 => 프로퍼티 클라스 내에 정의 된 함수 => 메소드 class Employee { fullName: string; age: number; printInfo = () => console.log(`이름은 ${this.fullName}이고 ${this.age}살입니다.`); } const a = new Employee(); a.fullName = "tae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