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채팅
- socket io
- SSA
- AWS
- 중급파이썬
- wetube
- Props
- MongoDB
- RDS
- Vue
- S3
- react
- git
- NeXT
- 카톡
- TypeScript
- node
- 튜플
- pandas
- crud
- async
- dict
- EC2
- Class
- lambda
- docker
- flask
- 파이썬
- merge
- SAA
- Today
- Total
초보 개발자
Git 원격 repo와 branch 본문
원격 repo는 로컬 repo가 연결되어있다고 했다.
하지만 사실 이 연결은 로컬 repo의 브랜치와 원격 repo의 브랜치가 연결된 것과 같다.
따로 설정을 해주지 않는다면 기본적으로 로컬 repo의 브랜치명과 같게 원격 repo의 브랜치 명이 생성이 되어 tracking을 한다.
commit history에 보여지는 orgin/main 혹은 origin/master이름표는 원격 repo의 main 혹은 master 브랜치라는 뜻이다.
원격 repo를 연결할 때 origin이라고 적어주었기 때문에 앞에 origin이 붙는다.
origin/HEAD는 현재 어떤 것을 가리키고 있는지이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pull과 push는 결국 특정 branch에 있는 commit을 여기와 연결되어 있는 branch에 가져오는 것이다.
소스트리에서 지금까지 있던 내용을 푸시하여 원격으로 올려보려고한다.
푸시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로컬의 main과 원격의 main이 연결되어있다는 뜻이고 로컬->원격으로 푸시를 한다는 이야기이다. 확인을 눌러보자
전에는 아래에 있던 origin/main이 지금은 main과 같은 선상에 존재하고 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로컬 에서 브랜치를 만들어보자 그리고 jjim.txt를 만들어 커밋을 해주자.
이제 원격 repo의 새로운 branch에 푸시를 해보자
현재 jjim branch에 체크아웃이 된 상태인지 확인을 하고 푸쉬 버튼을 누르고 jjim브랜치를 체크하면 자동으로 리모트 브랜치의 이름이 생성된다. 확인을 눌러보자
원격 repo origin에도 브랜치가 feature/jjim 브랜치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깃헙에 가서 브랜치를 누르면 main 밑에 feature/jjim이 있는 걸 확인할 수가 있다.
저걸 클릭하면 jjim.txt가 보일 것이다. main 브랜치에서는 안보임
그리고 메인 브랜치보다 커밋이 하나 더 앞서있다라고 알려 주기도 한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AI 웹개발 트랙 - 내배캠 > 5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ork (0) | 2022.01.11 |
---|---|
Git PR(pull request) (0) | 2022.01.10 |
Git merge conflict (0) | 2022.01.10 |
Git merge (0) | 2022.01.10 |
Git branch 생성, 삭제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