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웹개발 트랙 - 내배캠/8주차
AWS RDS 퍼블릭방식 접속, 비공개상태 접속
taehyeki
2022. 2. 2. 18:30
퍼블릭 방식 접속
데이터 베이스의 옵션이 퍼블릭 액세스 가능으로 표시되어있어야 퍼블릭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sudo mysql -h데이터베이스엔드포인트 -u아이디 -p
패스워드 입력
이렇게만 해주면 된다. 단, 이상태에서는 접속이 불가능 하다.
우리가 만든 데이터베이스의 보안그룹에 접속하여, 누구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해주어야한다.
또 어떤 서버에 접속할 것인지 지정하는 포트번호도 지정해주어야 한다.
내 IP로 지정하면 내 IP에서만 접속이 가능하지만, anywhere로 해두면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다.
비공개상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우리가 생성한 EC2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좀 전과 반대로 불가능에 체크해주자.
그리고 ec2를 생성하고 그 ssh 방식으로 접근해보
ec2를 생성할 때 VPC를 꼭 rds와 같은 것으로 지정해주어야 한다.
ec2인스턴스를 접속한 뒤
ssh -i 키 ubuntu@ip주소
sudo apt update 후
sudo apt-get mysql-client를설치해주자
그리고 다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시켜줘야한다.
sudo mysql -h데이터베이스엔드포인트 -u아이디 -p
패스워드 입력
단 여기서도 동작이 안될텐데
그 이유는 RDS의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를 설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C2의 ip4주소를 넣거나,
아니면 EC2가 속해있는 보안그룹의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그럼 잘 들어가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